반응형

역사 1021

1900년 11월 12일 경인선 전구간 개통식, 근대화가 아니라 일제 약탈의 시작이었다.

[들어가기전: 경인선 설명] 경인선(京仁線)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구로구의 구로역과 인천광역시 중구의 인천역을 잇는 총 연장 27 km의 철도 노선이다. 대한민국에서 공식적인 기록상 최초의 철도로[1][2], 1897년 3월 22일에 미국의 지원을 받아 기공하여 1899년 9월 18일에 일부 구간이 개통되었다. 1974년 8월 15일부터 전 구간을 수도권 전철이 운행하고 있다. 현재 서울과 인천시와 부천시를 연결하고 연선의 교통량 절반 이상을 분담하고 있다. 경원선 용산역 ~ 광운대역 구간과 함께 철저하게 도시철도화되고 있는 노선이다. 1900년 11월 12일 경인선 전구간 개통식, 조선 근대화의 상징이 아니라 일제에 의한 식민화의 시작이었다. 한민족의 한이 서린 경인선에 대해 알아 본다. (JTBC뉴스..

1939년 11월 10일 창씨개명(創氏改名) 공포, 창씨개명 의미 설명

오늘 11월10일은 조선총독부가 당시 조선인들에게 일본식 성과 이름을 강요한 창씨개명을 선포한 날이다. 민족의 비극이며 잊지 말아야 할 창씨개명에 대해 정리해 본다. (JTBC 위키백과 참조) 1939년 11월 10일 창씨개명(創氏改名) 공포, 일본이 조선인을 전쟁터로 내몰기 위해, 자발적인 식민지인으로 만들기 위한 창씨개명에 대해 알아본다. 1.창씨개명(創氏改名) 개요일본식 성명 강요(日本式姓名强要) 또는 창씨개명(創氏改名 そうしかいめい 통용: 소시 카이메이)은 1940년 2월부터 1945년 8월 광복 직전까지 일본 제국이 조선인에게 일본식 성씨을 쓰도록 강요한 것을 뜻한다. 창씨(創氏)란 일본식으로 씨(氏)를 만드는 것이고 개명은 '이름'을 바꾸는 것이다. 창씨(創氏)는 일제의 내선일체(內鮮一體)라는..

독일의 노르웨이 침공 계획

이제 독일은 노르웨이 침공을 본격화 하고, 연합국은 이를 간파하고 대비를 하게 된다. 노르웨이를 침공하려는 독일의 계획을 간략히 살펴 본다.노르웨이 전역(Norwegian Campaign; 1940년 4월 9일 - 6월 10일) 네 번째: 독일의 노르웨이 침공 계획 (Initial plans) 1.독일의 초기 계획먼저 이루어진 베저위붕 작전은 여유가 있었지만 알트마르크 사건 이후 긴박해졌다. 독일의 침공의 주요 목표는 철광석이 들어오는 나르비크 항구와 광산을 안전하게 운송되도록 만드는게 우선이었고, 노르웨이와 연합국이 손을 잡는 것을 막기 위해 노르웨이를 중립국가로 보호하는게 독일의 계획인데, 이는 괴뢰 정부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그리고 독일은 노르웨이 점령 계획 중 논쟁 중의 하나가 덴마크를 점령..

역사/세계대전 2015.11.08

독일이 노르웨이 침공을 가속시킨 알트마르크 사건(Altmark Incident)

독일은 노르웨이를 중립을 유지하는게 좋다는 생각을 했었지만, 독일 최고 사령부의 의견대로 점령을 하기로 결정을 하고 여기서 히틀러에게 침공에 대한 자신감과 명분을 준 일이 있었다. 정리해 본다.노르웨이 전역(Norwegian Campaign; 1940년 4월 9일 - 6월 10일) 세번째: 독일이 노르웨이 침공을 가속시킨 알트마르크 나포 사건 (Altmark Incident) 1.독일 사령부의 노르웨이 침공 결정독일 최고 사령부는 원래 노르웨이는 중립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는 생각을 했었다. 그 동안 연합국은 노르웨이 해상에 접근하지 않았었고 독일로 수입되는 광석의 배는 노르웨이 해안을 따라 내려가는 안전한 통로가 있었다. 그러나 독일 해군 대제독 에리히 레더는 침략을 주장하는데 그는 노르웨이 통로가 영국..

역사/세계대전 2015.11.08

노르웨이 전역(Norwegian Campaign) 발발 이유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고 연합군과의 일명 가짜 전쟁(Phoney War)이 벌어지던 시기 독일은 노르웨이를 침공한다. 그 전에 덴마크를 공격해 즉시 항복을 받아낸 독일은 본격적으로 노르웨이와 전쟁을 하게 되는데 이를 노르웨이 전역이라고 한다. 살펴볼 내용이 많아 단계적으로 알아본다. 우선 독일이 노르웨이를 정령하려한 이유부터 살펴 본다.노르웨이 전역(Norwegian Campaign; 1940년 4월 9일 - 6월 10일) 두번째: 독일은 노르웨이를 왜 노렸나? 독일이 노르웨이를 침공한 이유. 1.나르비크 항당시, 노르웨이는 중립적인 자세를 보였다. 독일과 연합국 사이에서 어느 한 편에 치우지지 않았다. 문제는 노르웨이의 지정학적인 위치의 중요성은 노르웨이를 그냥 두지 않았다.독일은 매년 스웨덴에서 수입..

역사/세계대전 2015.11.08

김무성 아버지 김용주 동명이인 김용주 모두 친일매국노였다.

어제 JTBC 뉴스룸에서 김무성의 부친 김용주가 동명이인 때문에 친일파로 오인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취재했다. 김무성 부친이 정말 동명이인이었을까? JTBC에서 사실 확인해보니 동명이인인 김용주는 15세 어렸던 만주군이었던 인물이었고, 김무성 부친이 김용주는 징병제 참여하고 독려 광고를 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2명의 김용주 모두 친일매국노였던 것이다. 한마디 한다. 친일반민족행위 김용주 아들 김무성은 애비의 죄를 반성하는 대신 김용주를 애국자로 둔갑시키고 있다. 이건 효도가 아니라 국민과 역사에 대한 모독이다. 우선, JTBC 취재에서 중요한 것만 정리한다. 편의상 김부성 아버지 김용주는 A 김용주, 동명이인을 B 김용주로 표기하며 동명이인인 B 김용주부터 간략히 설명한다. 1. B 김용주(동명이인, ..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유신시대(독재)에서 해방된 날. [10.26 사건 의미 설명]

오늘 10월 26일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사망했다. 김재규 중앙정보부장에 의해 발생한 이 사건을 10·26 사건(十二六事件) 또는 박정희 암살사건(朴正煕暗殺事件)이라고도 불린다. 중장년층에서는 ‘십이륙’이라고도 부른다. 이 사건에 대해 간략히 정리를 보겠다.1979년 10월 26일은 박정희 유신시대(독재)에서 해방된 날이다. 10·26 사건 (박정희 암살 사건, 십이륙, 10.26 사태) 설명 1.개요10·26 사건 (박정희 암살사건)은 당시 중앙정보부 부장 김재규가 박선호, 박흥주 등과 함께 박정희 대통령과 차지철 경호실장을 살해한 사건이다. 1979년 10월 26일 그날 박정희는 KBS 당진 송신소 개소식과 삽교천 방조제 준공식에 참석한 후 궁정동 안가(염동진의 아지트가 있던 자리)에서 경호실장 차지..

헌법재판소 국가모독죄 폐지 27년만에 국가모독죄 위헌 결정, 박정희 유신시대로 돌아가지 마라.

어제 10월21일 헌번재판소가 국가모독죄(형법 104조의2)를 위헌법률심판에서 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위헌 결정을 선고했다. 국민들의 비판에 대해 국가의 위신을 훼손한다는 이유로 형사처벌하는 것은 국가에 대한 자유로운 비판과 참여를 보장하는 민주주의 정신에 어긋난다는 것이 이번 판결의 이유다. 처음에는 잠시 오해를 했다. 대부분의 언론 기사에 ‘국가모독죄 폐지 27년만에 위헌’이라는 제목이 나왔길래, 국가 모독죄 폐지가 위헌이면, 국가 모독죄가 다시 부활하는 것인가?하는 착각이 들었었다. 자세히 보니 국가 모독죄 자체가 위헌이라는 것이다. 이번 판결을 진심으로 반기며, 몇가지 정리를 해본다.헌법재판소 국가모독죄 폐지 27년 만에 만장일치 위헌 결정 의미, 박정희 유신시대로 돌아가지 말라는 경고 우선, ..

세계 3대 해전, 나폴레옹의 영국 침략을 막은 트라팔가 해전(Battle of Trafalgar: 1805.10.21.) 의미

지금으로부터 210년전인 1805년 10월21일 프랑스와 스페인 연합함대를 상대로 대승을 거둔 영국해군의 트라팔가르 해전은 세계 3대 해전에서도 첫 손가락에 꼽히는 해전으로 역사에 남았다. 10월21일 바로 오늘있었던 트라팔가르 해전을 간략히 정리해 본다. 세계 3대 해전, 나폴레옹의 영국 침략을 막은 트라팔가르 해전(Battle of Trafalgar: 1805.10.21.) 의미와 의의 설명 1.배경해전이 발생할 시점인 1805년 당시 상황은 프랑스의 나폴레옹 황제가 거의 모든 유럽 국가들을 굴복시켰지만, 바다 건너 영국만은 예외였다. 당시 영국의 해군력은 세계 최강이었고, 영국은 프랑스 해상을 봉쇄하는데, 이는 영국이 프랑스를 자극하려는 의도보다는 나폴레옹이 영국을 침략하려는 의도를 막기 위한 일이..

역사/세계사 2015.10.21

제2차 세계대전 독일의 덴마크 침공, 베저위붕 작전(Unternehmen Weserübung)의 시작

2차세계대전 당시 독일은 스웨덴에서 나오는 철광석에 많이 의존을 하고 있었다. 스웨덴에서 철광석을 가져오기 위해서는 노르웨이를 거칠 수 밖에 없었다. 히틀러는 노르웨이를 점령하려하고 그전에 덴마크를 먼저 공격한다. 이때 작전명이 베저위붕 작전(독일어: Unternehmen Weserübung)이다. 제2차 세계대전 노르웨이 전역 첫번째 독일의 덴마크 침공, 작전명 베저위붕 작전(Unternehmen Weserübung)의 시작1.개요베저위붕 작전(Unternehmen Weserübung, *베저뤼붕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스칸디나비아의 중립국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나치독일이 침공한 작전이다. 작전 암호명 ‘베저위붕’은 독일어로 ‘베저 강 훈련’을 의미한다. 1940년 4월 9일 새벽, 독일은 덴마..

역사/세계대전 2015.10.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