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국사-근현대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유신시대(독재)에서 해방된 날. [10.26 사건 의미 설명]

올드코난 2015. 10. 26. 14:23
반응형

오늘 10월 26일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사망했다. 김재규 중앙정보부장에 의해 발생한 이 사건을 10·26 사건(十二六事件) 또는 박정희 암살사건(朴正煕暗殺事件)이라고도 불린다. 중장년층에서는 ‘십이륙’이라고도 부른다. 이 사건에 대해 간략히 정리를 보겠다.

1979년 10월 26일은 박정희 유신시대(독재)에서 해방된 날이다. 10·26 사건 (박정희 암살 사건, 십이륙, 10.26 사태) 설명


1.개요

10·26 사건 (박정희 암살사건)은 당시 중앙정보부 부장 김재규가 박선호, 박흥주 등과 함께 박정희 대통령과 차지철 경호실장을 살해한 사건이다.

1979년 10월 26일 그날 박정희는 KBS 당진 송신소 개소식과 삽교천 방조제 준공식에 참석한 후 궁정동 안가(염동진의 아지트가 있던 자리)에서 경호실장 차지철, 비서실장 김계원,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와 함께 연회를 가졌다. 연회 중에 김재규가 쏜 총 가슴과 머리를 맞은 박정희 곧 국군 서울지구병원으로 이송 중 숨졌다. 당시 박정희의 나이는 만 62세였다.


2. 사건 직전 

김재규는 대통령 비서실장 김계원에게 박정희와 차지철을 죽일 것이라고 알렸다고 전한다. 박정희와 차지철이 궁정동 안가로 들어오고, 김계원과 김재규도 연회장이 있는 '나'동으로 들어갔다. 김재규는 총을 자신의 바지 주머니에 숨기고 있었다. 그리고 박정희는 김재규, 차지철, 김계원, 심수봉(가수), 신재순(모델) 등과 함께 식사겸 술자리를 가진다.

이 자리에서 박정희는 정치 및 경제적인 문제로 인해 벌어지고 있는 민중들의 대규모 소요사태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한 것과 신민당에 대한 중앙정보부의 온건한 자세 등의 이유로 김재규를 질타하고 옆에 있던 차지철은 반항하는 자들은 모두 탱크로 눌러버려야 한다는 말을 하며 박정희를 거들었다.

자리를 비운 김재규는 궁정동 안가에 오자 마자 전화로 들어오라고 한 육군참모총장 정승화와 중앙정보부 제 2차장보 김정섭이 있는 '가'동으로 들어가 저녁 7시 10분경 그들에게 양해를 구했다.

김재규는 다시 연회장으로 갔고 문 앞에서 총 점검을 하는 순간 차지철이 나타났지만, 김재규는 총을 바지 주머니에 집어 넣었고 차지철은 그냥 지나갔다. 차지철이 경호원들이 있는 주방으로 내려갔다가 연회장에 다시 들어온 시점에 심수봉이 노래를 부르고 있었다.

차지철이 들어오자 김재규가 나가 저녁 7시 30분에 중앙정보부장 수행비서 박흥주와 중앙정보부 의전과장 박선호를 불러 아래와 같이 말했다.

“박선호 너는 정인형(대통령 경호처장)과 안재송(대통령 경호부처장)을 처단하고, 박 대령(박흥주)은 경비원들과 함께 주방의 경호원을 모두 없애라. 이것은 혁명이다!”

김재규가 다시 돌아왔을때 시간은 저녁 7시 38분이었고 심수봉의 노래가 끝나고 신재순이 노래를 부르는 중이었다고 한다.



3.사건 발생 상황

공식 시간 1979년 10월 26일 금요일 저녁 7시 41분, 신재순이 심수봉의 반주에 맞춰 '사랑해'라는 노래를 부르던 중 김재규가 총을 쏘아 차지철의 오른손목을 맞혔고 이어 박정희의 가슴을 향해 쏘았고 총에 맞은 박정희는 쓰러졌다. 총소리가 들리는 순간, 중앙정보부 의전과장 박선호는 대기실에서 대통령 경호부처장 안재송과 대통령 경호처장 정인형을 차례로 쏘아 죽였고, 중앙정보부장 수행비서 박흥주 역시 경비원들과 같이 주방에 있던 경호원들을 죽였다.

김재규가 총구를 차지철에게 조준했고 차지철이 김재규에게 계속 저항하는 가운데 김재규가 방아쇠를 당겼지만 총이 작동되지 않았다. 그때 정전되었으며 김재규는 연회장을 빠져나가 1층 로비로 갔다. 두리번거리고 있을 때 박선호가 나타났고 김재규는 총을 박선호의 총과 맞바꾸었다.

박선호는 탐색하러 갔고 김재규는 연회장으로 다시 들어갔는데 심수봉과 신재순이 총에 맞아 쓰러진 박정희를 부축하고 있었다. 차지철은 화장실에 숨었다 다시 나와 경호원을 찾으러 나가려는 순간 다시 김재규가 들어왔다. 차지철은 김재규에게 장을 던져 총쏘는 것을 막으려 했지만 김재규는 이를 피한 후 차지철의 폐와 복부를 향해 총을 쏘아 차지철이 맞고 그대로 엎어졌다. 김재규는 박정희 앞으로 다가와 총을 겨누었고 심수봉과 신재순은 도망쳐 어디엔가 숨었다. 김재규는 쓰러져 있는 박정희의 후두부에 총을 쏘았다. 오른쪽 귀 윗부분에서 들어간 총알은 지주막을 꿰뚫은 후 박정희의 왼쪽 콧잔등 밑에서 멈추었다. 머리의 총격이 치명상이었다는 것이 이후 밝혀졌다.


4.사건 발생 직후

대통령 비서실장 김계원은 연회장의 대기실에서 사건을 지켜봤다. 연회가 열린 '나'동이 아닌 '가'동에 있던 육군참모총장 정승화와 중앙정보부 제 2차장보 김정섭도 20여 발의 총소리를 듣고 의아하게 여기고 있었다.

김재규는 정승화와 김정섭과 함께 육군 본부로 가고 있을 때 김계원 비서실장은 박정희의 시체를 국군 서울지구병원으로 싣고 가서 박정희를 살리려 하지만, 이미 사망한 뒤였다. 그리고, 박선호의 명령을 받은 경비과장 이기주는 경비원 김태원을 시켜 쓰러져 있는 사람 모두를 확인 사살하였고 이미 사망한 상태였던 차지철 역시 확인 사살했다.

병원에서 나온 김계원 비서실장은 청와대로 들어와 최규하 국무총리에게 박정희의 저격범은 김재규라고 말하고 최규하와 함께 육군 본부로 가서 정승화와 노재현 국방부 장관을 만나 거듭 범인은 김재규라고 말했다.


5.사건 처리

육군참모총장 정승화는 육군 본부 헌병감 김진기에게 박정희 살해 혐의로 김재규 체포 명령을 내리고 10월 27일 오전 0시 40분경에 김진기가 김재규를 체포한다. 정승화는 당시 보안사령관 전두환을 불러 헌병감 김진기 준장에게 김재규를 인계받아 철저히 조사하라고 지시하였다.

이후 김재규는 동빙고동에 있던 보안사령부 서빙고 분실에서 전기고문과 물고문 같은 가혹한 고문과 수사를 받았다. 그리고 김재규는 1980년 군법회의에서 ‘내란목적살인’이라는 죄목으로 사형 선고를 받았고 1980년 5월 24일 서울구치소에서 교수형 당했다.


6. 김재규가 밝힌 박정희 암살 이유

김재규는 1심 최후 변론에서 이렇게 말했다.

“ 저의 10월 26일 혁명의 목적을 말씀드리자면 다섯 가지입니다. 첫 번째가 자유민주주의를 회복하는 것이요, 두 번째는 이 나라 국민들의 보다 많은 희생을 막는 것입니다. 또 세 번째는 우리 나라를 적화로부터 방지하는 것입니다. 네 번째는 혈맹의 우방인 미국과의 관계가 건국 이래 가장 나쁜 상태이므로 이 관계를 완전히 회복해서 돈독한 관계를 가지고 국방을 위시해서 외교 경제까지 보다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서 국익을 도모하자는 데 있었던 것입니다. 마지막 다섯 번째로 국제적으로 우리가 독재 국가로서 나쁜 이미지를 갖고 있습니다. 이것을 씻고 이 나라 국민과 국가가 국제 사회에서 명예를 회복하는 것입니다. 이 다섯 가지가 저의 혁명의 목적이었습니다.”

김재규는 거사(박정희 살해)를 안 하면 부마항쟁이 5대 도시로 확대돼서 4·19보다 더 큰 사태가 일어날 것이다’고 생각했고 이승만은 물러날 줄 알았지만 박정희는 절대 물러날 성격이 아니라는 판단을 했고 김재규는 더 큰 희생을 막기 위해서 암살했다고 주장을 한 것으로 보인다.


7. 김재규의 가장 큰 불만은 차치절이었다.

김재규는 재판 과정에서 민주화에 대한 열망으로 대통령을 살해했다고 주장했지만 권력 암투 과정에서 김재규가 차지철에 밀리는 상황이었고 김재규가 충동적으로 일으킨 범행이라는 견해가 많다. 사건전부터 김재규는 부하들도 눈치를 챌 만큼 박정희에게 반감이 있었고 전한다. 여기에 많은 사람들이 동의를 하지만, 어떤 개인적인 감정만으로 이런 일을 저질렀다고 보기는 어렵다.

김재규는 차지철이 ‘캄보디아에서 300만 명을 죽였는데 우리가 100만~200만 명 못 죽이겠느냐’는 말을 했다고 전한다. 김재규는 차지철에 대해 안 좋은 감정을 가진 것도 분명하지만, 10.26. 당시 부마항쟁 등 국민의 분노를 직접적으로 체감하고 있었다. 차지철에 대한 불만, 박정희에 대한 반감, 최소한의 양심적인 생각, 불안한 심리상태 등 여러 가지 이유가 하나가 되어 10.26 사태가 벌어지지 않았나 생각해 본다.


8.참고: 사건 당사자들

(1) 사망자: 박정희 대통령, 차지철 경호실장, 정인형 경호처장, 안재송 경호부처장, 김용섭 대통령 경호관, 김용태 대통령 운전기사

(2) 생존자: 김계원 대통령 비서실장, 박상범 대통령 경호실 수행계장, 가수 심수봉, 모델 신재순

(3) 처벌받은 인물

-김재규 중앙정보부장: 1980년 5월 24일 교수형

-박흥주 중앙정보부장 수행비서: 육군 대령, 중위 시절 김재규의 전속부관. 1980년 3월 6일 총살형(신분이 현역 군인이었던 관계로 군사재판이 단심으로 끝나 다른 가담자들보다 일찍 육군 교도소 내에서 총살형이 집행되었다.)

-박선호 중앙정보부 의전과장: 중학교 시절 김재규의 제자. 1980년 5월 24일 교수형

- 유성옥 중앙정보부 궁정동 안전가옥 운전기사: 1980년 5월 24일 교수형

- 이기주 궁정동 안전가옥 경비과장: 1980년 5월 24일 교수형

- 김태원 궁정동 안전가옥 경비원: 1980년 5월 24일 교수형

- 유석술 궁정동 안전가옥 경비원: 징역형

- 서영준 궁정동 안전가옥 경비원: 징역형


9.올드코난 생각

나는 요즘들어 만일 1979.10.26. 박정희가 죽지 않았다면 어떻게 되었을까하는 생각을 많이 한다. 재작년부터 했었던 고민이었다.


만일 박정희가 죽지 않았다면, 박정희 유신 시대는 현재 진행형이었을 것이다. 밤 12시가 되면 집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말 실수 한마디에 빨갱이로 몰리고, 홧김에 정부를 비판했다가는 삼청교육대로 끌려가던 그 시대를 나는 아주 어렸을 때 지켜봤기에, 당시 어른들만큼 체감하지는 못했지만, 박정희 유신시대에 고문을 당해 후유증을 겪고 평생을 고생하고 사는 사람, 그리고 요절한 사람과 풍지박살난 집안을 많이 봤다.


한국 경제발전은 박정희가 이룬 업적이고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풍요로움을 박정희 시대의 유산으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박정희가 죽은 10월 26일부터 국민들의 삶이 큰 전환점을 맞게 된다. 이후 전두환이 권력을 잡아 노태우까지 12년간 군부독재가 이어지기는 했지만, 박정희 유신시대만 하지는 않았다. 박정희 유신 7년은 대한민국의 시계가 멈췄던 시대였고, 당시 민주주의는 물론 경제도 뒷걸음치고 있었다. 간혹 보수들은 외적인 요인을 말하지만, 국내 문제가 가장 컸다.

박정희의 독재가 한국을 망치고 있었다. 박정희가 죽어서야 경제가 회복되기 시작한다.


박정희가 죽고, 유신시대가 끝나면서 경제가 회복되었다는 것은 무엇을 말하는가. 

경제 우선을 외치는 독재국가보다, 민생과 민주주의를 우선이라고 말하는 민주국가가 더 나은 삶을 제공한다는 사실이다.

얼핏 들으면, 수구들이 당장 국민들을 부자로 만들어 줄 것처럼 떠들지만, 결국 그들이 원하는 세상은 통제와 억압으로 국민들을 감시하고 착취하는 북한같은 독재국가다. 

한국의 보수들의 실체는 사실 북한의 공산당 집권 세력들과 본성이 같은 자들이다.


오늘 10월26일은 박근혜 대통령은 아비를 잃은 날이지만, 대한민국 국민들은 박정희라는 독재자로부터 해방된 날이다. 이날을 기뻐하지 못한다면 제2의 유신시대가 도래할지 모른다.

마지막으로 박정희 시대에 희생된 수많은 민주주의 인사들과 근로자들을 위로하며 이만 줄인다.  

글 작성/편집 올드코난 (Old Conan)

글에 공감하신다면 SNS (트위터, 페이스북)로 널리 널리 알려 주세요. ★ 글의 오타, 하고픈 말, 그리고 동영상 등이 재생이 안되는 등 문제가 발견 되면 본문 하단에 댓글로 남겨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