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역사 1021

중국의 세상 창조 신화 - 반고 신화 (盤古 神話) 설명

중국의 창조 신화에는 세상 창조 신화인 반고(盤古) 신화와 인간 창조 신화인 황제(黃帝) 신화 2가지로 알려져 있다. 우선 반고 신화에 대해서 정리해 본다. 중국의 세상 창조 신화 - 반고 신화 내용 및 유래 1.반고 신화 내용 아주 먼 옛날, 하늘과 땅이 나뉘어지지 않고 하나였던 시대, 세상은 검은 한 덩어리처럼 이루어 졌는데 이는 마치 하나의 알처럼 이루어져 있었다. 그 알 속에 잉태되어 있는 사람이 바로 반고였다. 알 속에서 무려 18,000년이라는 긴 시간을 살던 반고는 잠에서 깨어났다. 하지만 아무것도 보이지 않고 온통 어둠으로 둘러 쌓인 혼돈뿐이었다. 반고는 이런 어둠에 답답하고 화가 났다. 홧김에 큰 도끼를 휘두르자 알이 깨지고 말았다. 그러자 알 속에 있던 무거운 기운은 가라앉고 가벼운 기..

역사/중국 2014.12.15

중국의 고대문명 - 황하 문명, 장강 문명, 쓰촨 문명

중국의 고대문명은 크게 황하 문명과 장강 문명 2갈래로 나뉘어 볼 수 있다. 이전페이지에서 중국 고대 문명에 대한 내용을 담았는데, 이들을 황화와 장강으로 크게 나눴다고 보면 된다. 중국의 황하 문명과 장강 문명에 대해 간략히 정리해 본다. (글 출처: 위키백과, 중국사) 중국 고대사: 중국의 고대문명 황하 문명, 장강 문명, 쓰촨 문명 1. 황하 문명(黃河文明)은 중국의 황하 중하류 지역에 성립한 옛 문명의 총칭이다. 문명의 성립이란 일반적으로 국가·청동기·문자의 성립 등이 요소가 되는데, 이런 의미에서 황하 문명의 성립기(成立期)는, 오리엔트나 인도보다 늦은 기원전 2000년경이라 알고 있엇지만 훙산 문화 발견 이후로는 인식이 달라지고 있다. 예전에는 세계4대 문명으로 분류되었지만, 현재는 장강 문명..

역사/중국 2014.12.15

중국 고대 문명 - 중국의 선사 시대 (中國 先史 時代)

중국의 선사 시대는 선사조 시대 (先史期 時代)부터를 기준으로 약 1만년 전에 시작되었고 본다. 중국에 존재했던 선사시대 고대 문명에 대해 알아 본다. (글 출처:위키백과, 중국 고대사) 1. 펑터우산 문화(彭頭山文化) 기원전 7500년 ~ 6100년까지의 문명으로 현재의 후난성 동서부의 양쯔강 중류 부근의 문명이다. 북쪽의 황허 유역에 번창한 페이리강 문화(裴李崗文化)와 거의 같은 시기의 문화로 중국의 신석기시대 초기에 해당한다. 벼를 재배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표식 유적은 후난 성 창더 시 리 현의 리양 평원에서 발견된 펑터우산 유적이며, 같은 현에서 발견된 80 여개의 유적이다. 펑터우산 유적은 1988년에 발굴되어 현재로서는 중국 유적 중 가장 초기의 취락의 흔적을 엿볼 수 있다. 다만, ..

역사/중국 2014.12.15

올드코난과 함께 배우는 중국역사이야기 시작합니다.

안녕하십니까. 올드코난입니다. 오늘부터 중국역사이야기를 시작합니다. 저는 역사학자가 아닙니다. 단지 역사와 정치에 관심이 많은 일반인 중 한사람입니다.그런제가 감히 역사 이야기를 쓰는 것은 제 자신이 공부를 하고 싶고, 제가 공부한 것을 여러분과 같이 공유를 하고 싶기 때문입니다. 최근 한국사회는 물론 전세계적으로 정치적인 혼란이 있습니다.근본적인 이유를 역사 인식의 부재에서 찾아야 한다고 생각해 봅니다.과거는 현재의 거울입니다. 과거를 통해 오늘날의 문제와 앞으로의 일을 예측할수 있다고 생각해 봅니다. 과거를 잊어 버리면 미래도 없다고 말이 있습니다.과거를 통해 오늘날의 문제점들을 같이 고민했으면 합니다. 왜 중국역사인가?전세계를 통틀어 중국 이상의 문명과 역사 자료를 보유한 나라는 없습니다.고대 로마..

역사/중국 2014.12.15

전두환과 하나회에 의해 자행된 하극상에 의한 군사쿠데타 12. 12사태 (12.12 군사반란)

[들어가기전] 12. 12사태(事態 혹은 12.12 군사반란 軍事 叛亂)은 1979년 12월 12일 전두환 합동수사본부장이 이끄는 군내 사조직인 하나회 중심의 신군부 세력이 당시 최규하 대통령의 재가 없이 계엄사령관인 정승화 육군 참모총장, 정병주 특수전사령부 사령관, 장태완 수도경비사령부 사령관 등을 불법적으로 강제 연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군 내부의 무력충돌로 전두환이 권력을 잡게 되는 중요한 사건이다. 당시 보안사령관이던 전두환 소장은 12.12 군사 반란으로 군부 권력을 장악하고 정치적인 실세로 등장했하며 이후 1980년 5월 전두환을 중심으로 하는 하나회는 5·17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사실상 장악했고, 5·17 쿠데타에 항거한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강경 진압하게 된다. 같은해 전두환은..

천민으로만 알고 있는 백정 (白丁) 실은 북방유목민 타타르인이었다. (백정 뜻과 유래)

[들어가기전] 조신시대 천민 계급 백정 (白丁)에 대한 브리태니커 백과 설명 1423년(세종 5) 국가에서 이전의 화척(禾尺:楊水尺)·재인(才人)에게 농토를 주고 정착시키는 정책을 시행하면서 이들의 명칭을 신백정(新白丁)이라고 개칭했다. 이는 이들이 일반농민이 되었다는 뜻이었으나, 이후 오히려 '백정'이란 용어가 천민집단을 지칭하는 것으로 변질되는 계기가 되었다. 화척의 기원은 고려시대에 들어온 북방 유목민인 타타르인(韃靼人) 계통으로 생각된다. 이들은 조선시대까지도 자기들끼리 무리를 이루어 유랑하거나 별도로 부락을 이루어 살았으며 일반민과 통혼하지 않았다. 그리고 정착한 집단일지라도 일반인과 구별해 국역과 조세부담은 지지 않았다. 다만 사옹원에 소속되어 1호당 1정씩 차출되어 수유(酥油) 제조의 역을 ..

남 베트남 독재자 디엠 (응오딘지엠, 고 딘 디엠,吳廷琰) 어떤 인물이었나

1954년 제네바 협정에 의해 프랑스군과 프랑스군의 지휘를 받는 베트남인들은 북위 17°선 남쪽으로 이동시키고, 베트남 독립동맹군은 북위 17°선 북쪽으로 이동하고, 북위 17°선을 비무장지역(DMZ)으로 둘러싸인 군사분계선으로 정한다고 결정했다. 이 결정에 따라 수많은 사람들이 자기 고향을 떠나 남으로 혹은 북으로 떠났고, 프랑스군은 베트남으로부터의 마지막 철수를 시작했다. 제네바 회의의 합의에 따라 공산주의자가 주도하는 베트남 독립동맹은 베트남 북반부를 장악하게 되었는데 이는 북베트남이라고 불리게 되었고, 비공산주의자가 이끄는 베트남 남반부는 남베트남이라고 불리게 되는데, 문제는 미국이 남베트남의 지도자로 지지했던 디엠이 독재정치를 행하게 된다. 베트남 전쟁 이야기 7회: 남베트남 독재자 디엠 (응오..

역사/세계사 2014.12.06

제네바 협정(Geneva Accords 혹은 Geneva Conference, 1954)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프랑스-베트남 전쟁)이 종식되고 제네바 협정(Geneva Conference; 1954년 4월 26일 ~ 7월 21일)에 이뤄졌다. 이 협정은 동아시아의 평화를 위한다는 목적으로 시작되었지만, 결과적으로 그렇지 않게 되었다. 거기에는 바로 미국이 있었다. 베트남 전쟁 이야기 6회: 베트남 전쟁 전 상황 1탄 - 제네바 협정(Geneva Accords 혹은 Geneva Conference, 1954) 스위스 제나바에서 열린 제네바 협정은 크게 2가지 사안을 가진 협정이었다. 첫째는 1953년 종전된 한국전쟁(Korean War)후 한국의 통일 문제에 관한 것이었고, 두 번째는 1954년 5월 7일 공식적으로 전쟁이 끝난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프랑스-베트남 전쟁)이후 프랑스령 인..

역사/세계사 2014.12.06

베트남 독립전쟁,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프랑스-베트남 전쟁)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The First Indochina War)는 프랑스 지배에서 벗어나기 위한 베트남 독립 전쟁으로 프랑스-베트남 전쟁(the Franco-Vietminh War) 등으로 불린다.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직후, 한국을 포함한 많은 식민 국가들이 독립을 했지만 식민정책을 포기하지 않기로 결정한 프랑스는 베트남의 독립을 반대하고 이런 프랑스를 상대로 호찌민의 민족주의 저항세력이 결전을 벌인 것이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다. 1946년 12월 19일부터 1954년 8월 1일까지 벌어진 전쟁이다. 베트남 전쟁 이야기 5회: 베트남 독립전쟁,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프랑스-베트남 전쟁) 1. 전쟁 전 상황 19 세기 이후, 동남아시아는 유럽 열강의 식민지화가 진행되었는데 베트남은..

역사/세계사 2014.12.04

베트남 전쟁 명분 도미노 이론(Domino theory)

도미노 이론(domino theory)은 한 나라의 정치체제가 붕괴되면 그 강한 파급효과가 이웃나라에도 미친다는 이론으로 미국의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도미노의 첫 번째 말을 넘어뜨리면 전체 말이 전부 쓰러지고 것을 빗대어 베트남이 공산화가 되면 이웃 동남아시아 전역의 공산화가 된다고 설명한 데서 비롯된 말이다. 베트남 전쟁 이야기 4회: 베트남 전쟁 명분 도미노 이론(Domino theory) 도미노 이론은 아이젠하워가 거론한 이후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공산주의를 막아야 한다는 명분이 되는 말로 당시 소련이 위성국을 공산화 시키면서 민주 자본주의 진영에 위협이 되고 있는데 대한 두려움이 담긴 것으로 이는 베트남에 미국이 개입하게 되는 명분이 되기도 한다. 이후 베트남에서 미국이 철수하면서 베트남..

역사/세계사 2014.12.0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