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

삼국유사 저자 보각국사 일연 스님 왜 삼국유사를 썼을까

올드코난 2015. 2. 15. 20:56
반응형

일연(一然, 본명 김견명(金見明), 1206년 ~ 1289년) 속성은 김(金)씨, 본관은 경주(慶州), 속명은 견명(見明)이며, 처음의 자는 회연(晦然), 나중에 일연(一然)으로 바꾸었다. 호는 무극(無極)·목암(睦庵), 시호는 보각(普覺)이며, 탑호는 정조(靜照)이다.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승려로, 보각국사(普覺國師)라고도 한다.


1206년 무신정권 시대에 경상북도 경산에서 출생했다. 아버지를 일찍 여의고 1214년(고려 고종 1년) 9세 때 전남 광두의 무등산 자략에 있는 해양 무량사(無量寺)에 들어가 학문을 닦다가 14세 되던 1219년 강원도 양양에 있는 진전사(陳田寺 *강원도 기념물 제52호)로 가 대웅(大雄)의 제자가 되어 정식으로 중이 되었다. 진전사는 선종으로 이름이 높았는데 아홉 선문 가운데 가장 먼저 생긴 가지선파(迦智山派)에 속하게 되었고 평생 바꾸지 않았다고 한다.


당시 무신정권의 말기로 그 피해는 극에 달하고, 중국을 지배한 몽골의 원 제국과 고려의 외교관계 역시 악화일로로 치달아 언제 전쟁이 일어날지 모르는 상황이었다. 1227년 22세에 승과(僧科)에 급제하고 20년간 수도를 하면서 은둔을 하게 된다. 1246년 선사(禪師), 1259년 대선사(大禪師)에 올랐는데, 44세가 되던해에 정림사의 주지가 되어 6년간을 머물렀다. 1261년(원종 2) 왕의 부름으로 상경, 선월사(禪月寺) 주지가 되었고 목우화상(牧牛和尙)의 법통을 계승, 1268년(원종 9) 조지(朝旨)를 받고 운해사(雲海寺)에서 선교의 대덕(大德) 1백 명을 모아 대장경 낙성회(大藏經落成會)를 개최, 그 맹주가 되었다.



71세였던 1277년(충렬왕 3) 왕명으로 운문사(雲門寺) 주지에 취임, 1281년 왕에게 법설을 강조했고, 1283년 국존(國尊)으로 추대되어 원경충조의 호를 받고, 이 해 노모의 봉양을 위해서 고향에 돌아갔다. 다음해 조정으로부터 토지 백경(百頃)을 받아 경상도 군위(軍威)의 인각사(麟角寺)를 중건했고 궁궐에 들어가서 구산 문도회(九山門都會)를 개최했다. 인각사에 있던 시기에 삼국유사를 완성하고 1289년 84세에 입적했다. 

일연은 제자에게 북을 치게하고 자신은 의자에 앉아 다른 승려들과 태연하게 선문답을 하다가 갑자기 손으로 금강인을 맺고 세상을 떠났다고 전해진다. 조정에서는 보각(普覺)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이후 보각국사라 칭한다.


일연이 입적한 인각사에 깨진채로 남아 있는 일연의 비에는 일연의 삶과 그의 저술에 대한 자료가 남아 있다. 비문에 의하면 어록(語錄) 2권, 게송잡서(偈頌雜書)3권, 조동오위(曹洞五位) 2권, 조도(祖圖) 2권, 대장수지록(大藏須知錄) 3권, 제승법수(諸乘法數) 7권, 조정사원(祖庭事苑) 30권, 선문염송사원(禪門拈頌事苑) 30권 등 불서 80권이 넘는다고 적혀있지만, 거의 전해지지 않는다. 비문에 없는 삼국유사 만이 전해지고 있다.


일연의 삼국유사는 한국 고대의 신화와 민간설화를 수집하고, 특히 향가를 비롯한 불교 관계 기사를 수록, ‘삼국사기’와 함께 고대문학과 역사 연구에 귀중한 문헌이 된다. 


삼국유사 저자 보각국사 일연 스님 왜 삼국유사를 썼을까

우선 삼국유사라는 제목은 일연 본인이 직접 지은 이름이다. 사후 제자 무극이 책으로 간행을 했다. 그래서 인지 원본에는 무극기라고 덧붙인 곳이 2군데 있다.


일연 스님이 삼국유사를 쓴 이유는 자주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해서이다.

삼국유사 이전에 김부식이 삼국사기를 편찬했는데, 지나치게 사대주의라고 비판했고, 당시 지식인(사대부)들 또한 중국 문화의 동화되어 고려인의 자주성을 잃어가는 것을 안타까워 하는 마음에 쓴 것이다.


김부식의 삼국사기가 유교적이고 사대주의적이라면, 일연의 삼국유사는 불교와 민간 설화 등을 넣었는데, 이는 역사의 사실성 여부를 떠나 당대의 백성들의 삶과 생각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인 것이다.

김부식은 주로 중국의 자료를 참고했지만, 일연은 우리나라의 자료들을 많이 참고했다는 점도 매우 중요하다. 김부식의 삼국사기는 좀 더 객관적인 사실이 있을 수 있지만, 삼국유사는 그 이상의 것인 한 민족 고유 정서와 주체성을 느낄 수 있다.

김부식의 삼국사기가 역사의 참고서라면 일연의 삼국유사는 한국의 혼을 담은 문화 유산인 것이다.


글 작성/편집 올드코난 (Old Conan)

글에 공감하신다면 SNS (요즘,트위터,미투데이, 페이스북)로 널리 널리 알려 주세요. ★ 글의 오타, 하고픈 말, 그리고 동영상 등이 재생이 안되는 등 문제가 발견 되면 본문 하단에 댓글로 남겨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